최근 주식과 코인 시장이 불안하고, 금리는 인상되어 예적금을 이용한 재테크에 관심이 높습니다.
이번 글에서 "선납이연"이라는 방식을 소개했으니 확인하시고 더 많은 이자를 받는 팁을 얻어가세요.
선납이연
선납이연이란?
소개
"적금의 예금화"
선납이연을 소개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입니다.
하나씩 설명해 보겠습니다.
- 선납: 적금의 정기 납입일보다 일찍 입금하는 것
- 이연: 적금의 정기 납입일보다 늦게 입금하는 것
즉, 선납이연은 매달 정기적으로 적금을 입금하지 않고
선납 일수와 이연 일수의 총합을 0으로 맞춰 계약한 이자를 받는 방법입니다.
마지막으로 예시를 통해서 설명한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.
4회 납입 적금 | 계약 납입일 | 실제 납입일 | 선납 일수 | 이연 일수 | 선납 이연 총합 |
1회차 | 1월 27일 | 1월 27일 | 0 | 0 | 0 |
2회차 | 2월 27일 | 1월 27일 | + 30 | 0 | +30 |
3회차 | 3월 27일 | 4월 27일 | 0 | -30 | 0 |
4회차 | 4월 27일 | 4월 27일 | 0 | 0 | 0 |
위 예시의 가정은 4회 납입 적금입니다.
첫 납입일에 1,2회 차에 해당하는 금액을 한 번에 납입해 +30일을 벌었습니다.
그리고 3,4회 차에 해당하는 금액은 마지막 회차에 한 번에 납입해 -30일이지만, 총합은 0이 되었습니다.
⚠️주의⚠️
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선납이연을 하는 것만으로는 이자가 늘어나지 않습니다.
하지만 선납이연을 활용하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죠.
방법에 대해서는 차근차근 설명하겠습니다.
가능 조건
선납이연은 2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1️⃣ 적금 만기 총액의 50%에 해당하는 목돈
위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선납이연 방식은 목돈을 한 번에 입금해야 합니다.
일반적으로 50%를 입금하지만 방식에 따라 약 90%의 목돈을 한 번에 입금하기도 합니다.
2️⃣ 선납이연이 가능한 상품
선납이연은 모든 적금 상품에서 가능한 방법은 아닙니다.
적금의 약관에 아래와 같은 "지연입금"에 대한 내용이 있어야 합니다.
- 입금 스케줄에 제한이 없고, 이자가 고정되어 있다.
- 지연 일수에 따라 계약금액에서 차감하거나 만기일을 늦출 수 있다.
제2 금융권에 해당하는 농협, 새마을금고 등의 상품은 대부분 선납이연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하지만 상품 가입 전에 약관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선납이연 방식
선납이연은 대표적 방식이 3가지 존재합니다.
각 방식에 대해서만 설명하고
* 아래 방식은 12개월 납입 적금인 경우를 가정하겠습니다.
1️⃣ 6-1-5 방식
2️⃣ 1-6-5 방식
3️⃣ 1-11 방식
6-1-5 방식
보통 목돈을 가지고 있을 때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.
납입은 아래처럼 총 3번만 합니다.
1회 차: 6개월치 한 번에 납입 (목돈이 필요한 이유)
7회 차: 1개월치 납입
12회 차: 나머지 5개월치를 모두 납입
1-6-5 방식
곧 목돈이 생기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.
원리는 6-1-5 방식과 흡사합니다.
1회 차: 1개월치 납입
2회 차: 6개월치 한 번에 납입
12회 차: 5개월치 한 번에 납입
1-11 방식
당장 목돈은 없으나, 가입하고 싶은 좋은 상품이 있는 경우 활용하는 방식입니다.
납입은 총 2번 합니다.
1회 차: 1개월치 납입
7회 차: 나머지 11개월치 모두 납입
선납이연으로 돈 버는 법
앞서 설명한 대로 선납이연만으로는 돈을 벌 수 없습니다.
선납이연은 그저 조금 일찍, 조금 늦게 적금을 납입하는 방법일 뿐이죠.
하지만 선납이연을 활용해서 돈을 벌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적금(선납이연) + 예금
목돈이 있는 경우 활용할 수 있는 안전한 방식입니다.
6-1-5, 1-6-5, 1-11 방식 모두에 적용할 수 있죠.
방법은 이렇습니다.
선납이연이 가능한 적금에 가입하고, 이연 납입할 5개월치 혹은 11개월치를 단기 예금상품에 묶어두는 것이죠.
이 방법으로 적금이자와 예금이자를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.
적금(선납이연) + 대출
보유한 돈보다 더 큰 납입액을 만들어 이자를 늘리는 방법입니다.
6-1-5 혹은 1-6-5 방식을 활용할 때 주로 활용하죠.
원리는 이렇습니다.
6-1-5, 1-6-5 두 방식의 공통점은 12회 차에 5개월치를 한 번에 납입한다는 점이죠.
바로 이 5개월치를 단기 대출을 통해 마련하고 적금 만기 후 바로 상환하는 방법입니다.
이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"적금 담보 대출"이 가능하기 때문이죠.
일반적으로 적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을 적금액의 90%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.
5개월치는 담보인 6개월치의 83%에 해당하기 때문에 이를 하루, 혹은 이틀 대출받아 납입하면 됩니다.
⚠️⚠️⚠️TIP⚠️⚠️⚠️
신규 계좌개설에는 20일의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
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면 ⏬아래 링크⏬를 확인하세요.
[일상 팁] 5분만에 계좌 개설 20일 제한 확인하기 (20일을 찾아서)
계좌 개설 20일 제한 계좌를 개설하려는데 20일 제한이 걸리셨나요? 얼마나 지나야 제한이 풀리는지 찾으신다면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확인해보세요. "oo은행 예금 이자 x%, 적금 x%" 최근 금리인상
kay-dev.tistory.com
선납이연과 함께 예금이나 대출을 같이 활용한다면 이자를 배로 불릴 수 있습니다.
선납이연이 가능한 상품이 있다면 도전해 보시기 바랍니다.
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😊
'예금 & 적금 > 이슈 &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킹통장 금리비교, 가장 높은 이자는? (0) | 2023.02.22 |
---|